안녕하세요?



요즘 참 취업이 어려운 시기죠.


그런데 권고퇴직이나 희망퇴직 등의 사유로 퇴직 또한 많은 현실입니다.


노동자 수가 줄고 돈을 못벌면 그 타격은 다시 기득권에게 가는데 어쩌려고 이러는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우리들은 퇴직이 된 후 다시 취업을 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데 그 시간동안 우리의 삶을 약간은 챙겨주는 제도가 바로 고용보험에서 보장하는 실업급여죠.









오늘은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고용노동부 e 자가진단이라고 검색 후 접속해주세요.





e 자가진단 시스템 접속한 화면인데요.






아래쪽에 있는 실업급여 모의계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런데 실업급여 계산기를 사용하기전에 본인이 실업급여 기준에 맞는지를 먼저 체크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기껏 다 계산했는데 실업급여 수급자격에 미치지 못하면 정말 미쳐버려요.









고용노동부에 확인하셔도 되고 아래에 사진 보시면서 확인해보셔도 됩니다.


[고용노둥부 실업급여 수급자격 자가진단 해보기] - 더보기를 누르면 나와요.





실업급여 모의계산 계산기


이제 같이 계산해볼까요?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를 입력하고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을 입력하세요.





제가 예시로 77년 1월 1일에 태어났다고 하고, 고용보험은 2004년 1월1일부터 2016년 5월1일까지 가입했다고 적어봤습니다.





급여는 최근 3개월간 매월 200만원을 받았다고 가정했습니다.


저처럼 입력한 후 결과보기를 눌러주세요.






그랬더니 모의계산기 결과는요?




실업급여 금액이 하루에 43,416원을 받는다고 나오죠.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210일로 약7개월정도 되겠네요.


총 예상 수급액은 911만원정도가 되겠습니다.





추가적인 안내 사항입니다.







구직급여 수급액은 퇴직 3개월간 1일 평균 임금의 50%정도 입니다.


여기까지 고용노동부 자가진단 계산기를 활용한 실업급여 모의계산 안내였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