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하고 조회해보자.


대한민국이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못올랐다라고 의견다툼이 있을만큼 우리나라는 그동안 많은 발전을 했죠. 70년대에 비하면 주변을 봐도 누가 굶거나 굶어서 죽는사람은 거의 없어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경제상황이 나아졌어도 아직 복지에 대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보니 사람들은 스스로 노후대책을 마련해야합니다. 저축도 들고, 집도사고, 연금도 들면서 말이죠. 그런데 대부분은 집을 사다보니 다른 저축을 못하게됐죠. 그래서 나라에서는 주택연금이라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 주택연금이 어떤제도이며 주택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주택연금이란?

만60세 이상의 고령자가 소유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한 기간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자금을 지급받는 상품입니다. 국가가 보증하는 역모기지론이라고 볼 수 있죠.



주택연금절차는 우리들이 한국주택금융공사에 주택연금을 신청하면 은행에 보증서를 발행해주고 은행은 우리들에게 매월 일정한 금액을 주게됩니다.


주택연금 지금방식과 월수령액

지급방식은 종신지급, 확정기간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으로 총 4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종신지급방식 월수령액을 볼까요?



일반주택과 노인복지주택에 따라 금액이 약간 달라지는데요. 70세부부가 3억원 일반주택으로 연금신청시 주택연금 수령액은 약 97만원정도되겠습니다.

다음은 확정기간방식입니다.



확정기간방식은 일정한 기간동안만 받겠다라는 것인데요. 종신지급보다는 지급액이 아무래도 늘어나죠. 그래서 70세부부가 3억원 주택으로 연금을 받을 때 10년확정으로 받으면 162만원을 받게됩니다.



이번엔 대출상환방식인데요. 주택담보로 돈을 빌리고 있는 분들도 주택연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만든 방법입니다.



위는 우대방식일 때 주택연금수령액입니다. 이 방식은 1.5억원 이하의 1주택 소유자가 종신지급방식보다 최대15% 우대하여 종신토록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주택 금액이 작아야 신청할 수 있죠.




여기까지 주택연금 수령액 예시에 대한 것들을 살펴봤는데요. 좀 더 내 상황에 맞는 연금수령액을 조회해보고 싶다하시는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먼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로 갑니다. 주소가 www.hf.go.kr이고요.



접속하면 큰 메뉴로 주택연금이 있는데요. 들어가보세요.



그러면 왼쪽메뉴중에 예상연금조회를 보실 수 있는데요. 주택소유자 생년월일, 주택가격, 지급유형 등에 대한 설정을 하고 조회를 해보시면 내게 맞는 연금액을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주택가격은 한국감정원 인터넷시세, kb국민은행 인터넷시세,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주택공시가격, 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기관의 최근 6개월 이내 감정평가가격을 순차 적용하며, 한국감정원 시세는 중간값, kb시세는 일반평균값을 기준으로 담보주택가격이 결정됩니다.




아니면 이런 방법들이 너무 어려울땐 주택금융공사 콜센터 1688-8114에 전화하셔서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름다운 노후가 되시길 바라면서 이만 마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